교육원소개 원장 및 분야별 주임교수 소개
원장 및 분야별 주임교수 소개
원장

허영한 원장
학력사항
- The Graduate School And University Center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(Ph.D)
- Queens College Of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(MA)
- 서울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(학사)
경력
- 계명대학교, 성신여자대학교, 경원대학교, 숙명여자대학교, 한양대학교 강사
- 경원대학교 조교수
- 홍콩 '아시아의 젊은 작곡가 페스티벌' 뉴욕 ' 레프트 뱅크로부터의 울림' 에 참가
주요저서
- 종별대위법과 조성음악
- 들으며 배우는 서양음악사
- 고전음악의 이해
- 들으며 배우는 음악분석
- 마법의 성: 오페라 이야기
주요논문
- 베토벤의 교향곡 8번과 C#
- 도상학과 음악학, 음악 안에서의 문화상징에 대한 탐구
- 컴퓨터음합성, 미디, 인터액티브 시스템
- 사계절의 빠르기:문승현의 「사계」분석
- 자필기록에 의한 안익태의 유럽활동 재구성
주요작품
- 「음악, 시, 마임, 스크린을 위한 `처형`」
- 「피아노를 위한 5개의 소품」
- 「전자음을 위한 서곡」
- 「현악합주와 하프시코드를 위한 협주곡」
- 플룻 독주를 위한 「분노의 그날이여」
- 「현악 사중주를 위한 트로트」
- 「세대의 기타를 위한 기타놀이」
음악분야

김영욱 교수
학력사항
-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예술사 졸업
-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예술전문사 졸업
- 뮌헨 국립음악대학교 석사 졸업
- 뮌헨 국립음악대학교 독주자 최고연주자과정 졸업
경력
-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바이올린 객원교수 역임
- 한국예술종합학교 기악과 실내악 전임강사 역임
- 노부스 콰르텟 멤버(바이올린)
공연 및 활동
- 위그모어홀, 베를린 필하모니, 피에르불레즈홀, 뮌헨 헤라클레스홀, 쾰른 필하모니, 비엔나 콘테르트하우스, 비엔나 뮤직페어라인, 암스테르담 콘서트헤보우, 본 베토벤 하우스, 뮌헨 라디오 오케스트라, 헝가리 체임버 필하모닉, 베를린 캄머 필하모니,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등 연주
수상경력
- 2020 제3회 벽산문화재단 벽산문화상
- 2015 제9회 대원문화재단 대원음악상 신인상(노부스 콰르텟)
- 2014 제11회 모차르트 국제 콩쿠르 현악 사중주 부문 1위(노부스 콰르텟)
- 2012 ARD 국제콩쿠르 현악 사중주 부문 2위(노부스 콰르텟)
- 2011 윤이상 국제 음악콩쿠르 3위
- 2011 베오그라드 쥬네스 국제콩쿠르 바이올린 부문 1위
- 2008 동아음악콩쿠르 1위
무용분야

조주현 교수
학력사항
-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(실기과) 졸업
- 서울대학교 졸업(석사)
경력
- 워싱턴 발레단 주역무용수
- 한국을 빛낸 해외발레스타 초청공연 초청안무가
공연 및 활동
- 배웅
- Inspiration
- On the Wings
- Oh! Paganini
- Love or hate it
- In These Days, Re-evolution
- 시간 밖으로
- Happy Parade
- 오감도
- 가을 그 빛 속으로 등
전통예술분야

정수년 교수
학력사항
- 중앙대학교 음악학과(음악학석사)
- 서울대학교 국악과(음악학사)
경력
- KBS 국악관현악단 해금수석 역임
- 슬기둥 실내악단 동인
- 해금연구회 회장
- 한국해금앙상블 ‘애해이요’ 예술감독
공연 및 활동
- (연주)
- KBS국악관현악단, 국립국악원 창작악단, 국립국악관현악단,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, 부산시립국악관현악단, 수원시립교향악단, 서울심포니 등 협연 다수
- 미국, 러시아, 중국, 일본, 영국, 독일, 오스트리아, 프라하, 콜롬비아, 몽골, 방글라데시 등 해외공연 다수
- 정수년의 해금세계 “Beautiful things in life” 콘써트(정동극장)
- 정수년의 해금세계 “사월(思月)”독주회 개최(금호아트홀)
- 정수년의 해금세계 “The Moon of December”(세종체임버홀)
- 정수년의 해금세계 “Monologue”(세종체임버홀)
- 정수년 해금세계 “소담(笑談, 우스개소리)”(세종체임버홀)
- 일본초청 동경 정수년의 해금콘서트 “魅感”(동경 기오이홀)
- 세계평화축전초청 정수년해금콘서트(임진각)
- ONE WORLD MUSIC FESTIVAL “정수년 콘서트”(문화예술위주최) 등 독주회 다수
- (독집음반)
- [정수년의 해금 세계]
- [空, Beautiful things in life]
- [소리그림자 Fated Unison]
- [笑談. 우스개소리]
- (논문)
- 『김영재 해금산조』의 『조의 변화』연구
- 『월북해금연주자 류대복해금산조의 음악적 연구-진양조를 중심으로』
수상경력
- 오늘의 젊은 예술가상 수상(문화관광부)
- KBS국악대상 관악상 수상
- 대한민국국회 대중문화&미디어 대상수상
- 난계악학대상 공로상 수상
융합분야

어민선 교수
학력사항
- 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교(RISD, Rhode Island School of Design) 그래픽디자인 석사(MFA), 미국 프로비던스, 2013.
- 국민대학교 조형대학 시각디자인학사(BFA), 2008.
교육경력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(MICA, Maryland Institute College of Art) 전임교수, 메릴랜드예술대학교 재단이사회-동문 선정 올해의 최우수교육자상 수상, 미국 볼티모어, 2017–2024.
- 뉴욕시립대학교 퀸스칼리지(CUNY, The City University of New York Queens College) 겸임교수, 뉴욕, 2017.
주요 교육 활동(교과 外)
- 서울대학교 디자인학부, 디자인 실무-교육 특강 워크숍 〈경험과 지성의 아틀라스: 디자이너 콜라주 매핑하기〉(Atlas of Experience and Intelligence: Mapping Designers’ Collages) 기획, 초청 강사, 2024.
- 한국예술종합학교-싱가포르 난양예술대학(Nanyang Academy of Fine Arts) 국제교류 디자인 워크숍 및 한국-싱가포르 수교 50주년 기념 상징 아이덴티티 연구 개발 학생 지도 및 공동 기획, 운영(한예종 미술원 디자인과 -주싱가포르대한민국대사관), 2024.
- 한국예술종합학교 디자인과 실무 및 교육 특강, 2024.
- 파슨스디자인대학(The New School, Parsons School of Design) 인터랙션 · 커뮤니케이션 디자인 전공 졸업 논문 객원 비평 · 심사위원, 뉴욕, 2021.
- 홍익대학교 미술대학 시각디자인학과 실무 · 교육 특강 〈배움으로서의 가르침 그리고 실천의 진화〉(Teaching as Learning and Evolving Practice) 초청 강사, 2020.
- 북미예술디자인대학교협회(AICAD, Association of Independent Colleges of Art and Design) 심포지엄 〈인클루드 미: 다양성, 공정, 포용〉(Include Me: Diversity, Equity & Inclusion) 초청 연사, 로스앤젤레스, 2019.
- 캘리포니아 칼리지 오브 아트(CCA, California College of the Arts) · 홍익대학교 국제교류 융합디자인 워크숍 〈유형학연구소: 서울의 견본〉(Institute of Typologies: Specimens of Seoul)기획, 초청 강사, 2019.
- 홍익대학교 국제교류 XD 융합디자인 워크숍 〈보이지 않는 *서울 연구소: 맥락 특정적 필터〉(Institute of Invisible *Seoul: Context Specific Filters) 기획, 초청 강사, 2018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글로벌 · 한글 타이포그래피(Global-Hangeul Typography) 워크숍, 볼티모어, 2018–2024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티칭 펠로우십 리서치 공개 특강, 볼티모어, 2018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그래픽디자인 대학원 석사 논문 지도교수, 볼티모어, 2017–2019.
- 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교(RISD) 초청 특강, 객원 비평, 프로비던스, 2017.
- 보스턴대학교(Boston University) 초청 특강, 객원 비평, 보스턴, 2016.
- 뉴욕시 비영리단체 뉴욕한인예술인연합(Korean Association of New York Artists,), 〈TALK TALK TALK〉, 뉴욕 거주 재미동포 예술인을 위한 초청 특강, 뉴욕, 2015.
주요 실무경력
- 와이낫스마일(Why Not Smile New York, LLC.) 책임 디자이너, 뉴욕, 2015–2017.
- 주식회사 투바이포(2x4, Inc., New York) 디자이너, 뉴욕, 2013–2015.
- 텍스트(TEXT) 책임 디자이너 · 연구원, 서울, 2010, 2011.
- 주식회사 홍디자인 디자이너, 서울, 2007–2008.
교내 · 대외 협력 및 기여
- 한국예술종합학교 2025 공식 홍보영상 및 입학식 메인-서브 타이틀 자문 및 카피라이팅(The Call of Arts, Journey through Creation), 2024–25.
- 한국예술종합학교 본부 자문위원 (학사정보 시스템 누리앱 개선사업 디자인 시스템 자문), 2024–25.
- 한국예술종합학교 6개원 상징 이미지 개발 워크숍 〈Imagery: Collage as Signifier〉 기획 및 특강, 2024.
- 한국예술종합학교 국영문 정보 게시판 시스템 개선사업 자문, 2024.
- 서울시 난지물재생센터 홍보관 디자인 공개입찰 제안서평가위원, 2024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본부 업무수행 기획안 「다양성, 공정, 포용, 국제화」(DEIG: Diversity, Equity, Inclusion, and Globalization Workplan) 디자이너, 컨설턴트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본부 업무수행 기획안 「다양성, 공정, 포용, 국제화」(DEIG: Diversity, Equity, Inclusion, and Globalization Workplan) 디자이너, 컨설턴트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학생 국제 커리어 프로그램 자문.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신입 장학생, 경쟁 장학생 선발 · 심사 및 행정 위원.
- 전미(全美)포트폴리오대회(National Portfolio Day) 심사 · 입시 자문 위원.
펠로우십
- 메릴랜드예술대학교 티칭펠로우십, 2017.
- 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교 그래픽디자인 대학원 강의조교 펠로우십, 2011–13.
주요 실적 프로젝트
-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자기조립연구소(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, MIT Self Assembly Lab), 「3D프린팅과 애디티브 매뉴팩처링(적층가공)」(3D Printing and Additive Manufacturing) 저널 및 브랜딩, 미국 케임브리지, 2015–2024.
- UN총회-MIT 〈확장하는 섬: 파력에너지를 통한 해변 재건과 해안선 보호〉(Growing Islands: Rebuilding Beaches and Protecting Coastlines through Wave Energy, Presented in UN General Assembly, New York), 지속가능 환경 모니터링 데이터-인포메이션 애플리케이션 디자인 시스템 연구 개발. 미국 뉴욕, 2024.
- (주)JOODOC 주닥더마코스메틱 브랜딩 · 가이드라인 집필 · 연구 개발 2022–24.
- (주)메타스케일 베이글(Bagel, 확장현실XR 소셜미디어플랫폼), 브랜딩 연구 개발, 한국-일본, 2022.
-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(Harvard University Graduate School of Design), 『엑수마를 위한 툴박스: 바하마의 지속가능 환경 경영, 설계, 그리고 계획』(A Toolbox for Exuma: Environmental Management, Design, and Planning in The Bahamas), 『지속가능한 엑수마의 미래』(A Sustainable Future for Exuma), 참여형 교육-공간 확장형 툴박스 연구 개발, 케임브리지, 2016–21.
- 매사추세츠 공과대학교 자기조립연구소, 『액티브매터』(Active Matter), 세계최초 4D프린팅 소재와 응용을 주제로 다룬, 액티브 신소재 융합 북디자인, 스카일러 티비츠(Skylar Tibbits) 편저, 케임브리지, 2017, 2022.
- 하버드대학교 디자인대학원, 〈대니얼 어반 카일리 조경대학원 티칭펠로우십〉(Daniel Urban Kiley Teaching Fellowship in Landscape Architecture), 디지털 · 프린트 프로모션 디자인, 케임브리지, 2016, 2017.
- AHC(초기형 아이덴티티) 브랜딩 · 가이드라인 집필 · 연구 개발 2017.
- 매일유업 상하목장 유기농 초지방목치즈, 슬로우밀크 브랜딩 · 패키지 연구 개발, 2017.
- (주)로직잉크(Logic Ink,Inc.), 4D 프로그래머블-생체신호 반응형 웨어러블 타투 브랜딩 연구 개발, 샌프란시스코 실리콘밸리, 2016.
- 미국건축가협회 뉴욕지부(AIA, American Institute of Architect New York Chapter), 아너 앤 어워드 런천 브랜딩, 뉴욕, 2016.
- 오하이오주립대학교 놀튼건축대학원(The Ohio State University, Knowlton School of Architecture), 컴퓨테이셔널 4D건축 리서치 펠로우 캐리 맥넬리(Carrie McNelly), 《루프드 매터: 유연한 선으로부터 부드러운 형태까지》(Looped Matter: from pliable line to soft form) 전시 아이덴티티 및 공간 커뮤니케이션 디자인, 미국 컬럼버스, 2016.
- 서울시립미술관 미디어시티서울 국제 비엔날레 《네리리 키르르 하라라》, 컴퓨테이셔널 비엔날레 아이덴티티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연구 개발 및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2016.
- 아모레퍼시픽몰 글로벌 브랜딩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프로토타입 연구 개발 참여, 2016.
- 폰다지오네 프라다 기획전 《아트 오어 사운드》(Art OR Sound) 전시 브랜딩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연구 개발 참여, 베니스, 2014.
- 프라다재단미술관 폰다지오네 프라다(Fondazione Prada) 브랜딩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연구 개발 · 개관전 공간 사인 제작 참여, 밀라노 · 베니스, 2014.
- 프라다 파리 포부르(Faubourg) 스토어, 공간 멀티월 디지털 스크린 · 비디오 디자인 및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파리, 2014.
- 프라다 뉴욕 5번가 스토어 리테일 공간 월 디자인 및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뉴욕, 2014.
- 프라다스피어(Pradasphere) 전시 아이덴티티 브랜딩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연구 개발 참여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홍콩, 2014.
- 베니스영화제 《미우미우 위민스 테일》(MIU MIU Women’s Tales, 여성을 위한 시사회), 초청 프레스키트, 패키지 디자인, 베니스, 2014.
- 글렌스톤미술관(Glenstone) 뮤지엄 브랜딩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연구 개발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미국 포토맥, 2014.
- 컬럼비아대학교 건축대학원(Columbia University, GSAPP GraduateSchool of Architecture, Planning and Preservation), 파리 아틀리에(Paris Atelier) 디지털 브로슈어 디자인, 뉴욕, 2014.
- 프로타고니스트(Protagonist) · 텐폴드(Tenfold) 패션-홈 프로덕트 브랜딩 연구 개발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뉴욕, 2014.
- 현대모터스튜디오 브랜딩(디지털 · 프린트 · 공간) 연구 개발 참여 및 글로벌 가이드라인 집필 · 디자인, 뉴욕-서울, 2013.
- 페레스마이애미미술관(Pérez Art Museum Miami) 개관기념전 아이덴티티 브랜딩 연구 개발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마이애미, 2013.
- 《리차드 롱》(Richard Long), 대구미술관 개관특별전 도록 디자인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2011.
- 백남준아트센터 『백남준의 선물 02: 고르디아스의 매듭 다시 묶기』(The Gift of Nam June Paik 02: Retying Gordian Knot) 카탈로그 디자인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2010.
- 백남준아트센터 기획전 《산으로 간 펭귄》(The Penguin that Goes to the Mountain) 전시 아이덴티티 개발 · 프로덕션 매니지먼트, 2010.
- 광주디자인비엔날레 특별전 《디자이너의 빛 | “빛의 시인” 잉고 마우러》(Designer’s Light | Ingo Maurer “Poet of Light”) 전시 아이덴티티 · 프린트 개발, 2007.
- 제1회 〈페차쿠차나이트〉(Pecha Kucha Night) 컨템퍼러리 아티스트 프리젠테이션 아이덴티티 · 프린트 개발, 2007.
주요 전시 실적
- 《조판공의 다리》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 리얼레이션 스페이스, 서울, 2024.
- 《앞으로!》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 온라인, 2023.
- 《브랜드 경험의 통합, 브랜드 통합의 경험: 공간 경험, 디지털 커뮤니케이션, 그리고 소재 탐구를 통한 통합·시스템적 디자인 실천과 교육》(Integrating Brand Experience, Experiencing Integration of Brand), 브론즈갤러리, 볼티모어, 2023.
- 《메릴랜드예술대학교 교수작품전》(MICA Faculty Exhibition), 패니 폭스 데커-핑카드 갤러리, 볼티모어, 2022.
- 《진동새와 손편지》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 아트선재센터, 예술청 · 온라인, 2022.
- 《노래하는 말 노래하는 글》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 · 월간디자인, 코엑스 서울디자인페스티벌 메타버스 · 온라인, 2021.
- 《WFH, WFH: 워킹 프롬 홈, 워킹 포 미 》(Working From Home, Working For Me), 초대전, 펜데믹 기간 온라인 · 샌프란시스코, 2020.
- 《만질 수 없는》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 펜데믹 기간 온라인, 2020.
- 《페이즈II(애즈, 낫 포: 절대성 무너뜨리기 연계 전시)》(Phase II, A companion exhibition of As, Not For, Dethroning Our Absolutes), 브론즈갤러리, 볼티모어, 2019.
- 《하카 임프레션》(Hakka Impression) 국제 초청전, 레드큐브 공립미술관, 중국 선전, 2019.
- 《서울 내일만나요 평양》(Seoul See You Tomorrow PyeongYang) 국제 초청전, 서울특별시, 서울디자인재단, DDP 동대문디자인 플라자, 2018.
- 《사진과 타이포그래피》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두성 인더페이퍼 갤러리, 2018.
- 《뉴욕시립대학교 디자인 교수전》(CUNY Design Faculty Exhibition), 고드윈턴바흐미술관, 뉴욕, 2017.
- 정기회원전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 단체, 두성 인더페이퍼 갤러리, 2017.
- 《교차》(交叉)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전, 성신여자대학교 돈암수정캠퍼스 난향관 파이 룸, 2015.
- 《광주디자인비엔날레 2013 기념특별전 하계유니버시아드대회 남북한동시입장 기원 국기디자인》, 2014.
- 《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교 그래픽디자인 트리엔날레》(RISD Graphic Design Triennial), 브라운대학교 우즈-게리 갤러리, 프로비던스, 2012.
- 《로드아일랜드디자인대학교 그래픽디자인 대학원 비엔날레》(RISD MFA Graphic Design Biennial) 그래픽디자인 대학원 비엔날레, 솔 코플러 갤러리, 프로비던스, 2011.
- 《페스티벌 봄》(국제다원문화예술 축제 Festival Bom), 온라인 리뷰 초청전, 2010.
- 《가짜잡지FM (GZFM)》, 공간해밀톤, 2010.
- 《뉴욕타입디렉터스클럽 수상작 초청전》(TDC54 & TDC2008), 뉴욕, 2008.
- 《프랑크푸르트 북페어》(Frankfurter Buchmesse), 독일 프랑크푸르트, 2008.
- 《드루파 국제 인쇄-미디어 박람회》(Drupa 2008 Düsseldorf), 독일 뒤셀도르프, 2008.
- 《미래디자인클럽 2008》(Future Design Club 2008), 신진 디자이너 초대전, 마포디자인클러스터, 2008.
주요 집필 실적
- 「글짜씨」(LetterSeed) 27, 정기학술간행물(학회지), ‘타이포그래피 지금 2024’, ‘디지털타이포그래피 교육 현황조사 2024’ 참여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, 안그라픽스, 2024.
- 「글짜씨」(LetterSeed) 19, 정기학술간행물(학회지), ‘읽고, 듣고, 말하는 글자’, 대담, 사단법인 한국타이포그라피학회, 안그라픽스, 2021.
- 『마이카 그래픽디자인: 컨티뉴엄』(MICA Graphic Design: Contiuum), 메릴랜드예술대학교, 2021.
- 〈디자인소리〉, 「작은 관계 속의 큰 울림, 디자이너 어민선」, 대담, 온라인, 2015.
- 현대모터스튜디오 『글로벌 브랜드숍 가이드라인』(Global Brandshop Guidelines), 뉴욕, 2013.
- 『얼루어 코리아』(Allure Korea), 4월호, ‘Think Green’, 두산매거진, 2012.
- 월간 「컴퓨터아트」(CA: Computer Arts) 12월호, ‘젊은 디자이너의 발자취', 대담, 퓨처미디어, 2012.
- 『자율과 유행』, 프로파간다, 2011.
- 월간 「디자인네트」 제164호 특집 디자인 교육 토론 · 대담 ‘디자인 참 교육은 어디에’, 디자인네트, 2011.
- 월간 「디자인네트」 제148, 159호, ‘아시아의 주목할 젊은 디자이너 36인’ 대담 · 리뷰, 디자인네트, 2010.
- 「가짜잡지」 제3호, 디자인 교육 비평, 가짜잡지편집부, 2009.9.
수상경력
- 그라피스 뉴탤런트 애뉴얼(Graphis Competitions New Talent Annual), 메리트(Merit), 뉴욕, 2014.
- 어플라이드 아츠(Applied Arts), 입선(Winner, 2부문), 캐나다, 2013.
- 어도비 디자인 공모전(ADAA, Adobe Design Achievement Awards), 가작(Honorable Mention, 2008), 입선(Semifinallist, 2007), 미국 산호세.
- 뉴욕타입디렉터스클럽(TDC, Type Directors Club New York) 국제공모전 우수상(Certificate of Typographic Excellence, 2부문), 뉴욕, 2008.
- 아트디렉터스클럽87 국제 어워드(ADC87, Art Directors Club Annual), 디스팅티브 메리트(Distinctive Merit), 뉴욕, 2008.
- 아웃풋(Output) 국제 어워드, 입선(Winner), 독일, 2008.
- 쇼몽 국제 포스터 페스티벌(International Poster Festival of Chaumont) 전시작 선정, 프랑스 쇼몽, 2008.
- 케이티프리텔 KTF 스타일 & 디자인 공모전 금상, 2006.
- 롯데백화점 제2회 환경마케팅 공모전 입선, 2006.